이상한 나라의 수학자(출처:다음영화)

제목: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개봉: 2022.03.09

등급: 12세 이상 관람가

출연진: 최민식, 김동휘, 박병은, 박해준

러닝타임: 117분

수학을 사랑한 탈북민과 수학을 포기한 고등학생의 이야기

주인공 이학성(최민식)은 학문의 자유를 위해 북한에서 탈북한 수학학자입니다. 그는 최상위 영재들이 다니는 명문고등학교에서 경비원으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주인공 한지우(김동휘)는 학성이 일하는 고등학교의 학생입니다. 지우는 다른 학생들과 비교하여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어려운 집안 사정 때문에 사교육을 받지 못하는 지우는 낮은 수학 성적 때문에 전학을 권유받습니다. 어느 날 우연히 지우는 학성에게 뛰어난 수학 풀이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끈질기게 학성을 설득하는 데 성공한 지우는 학성에게 수학을 배우게 됩니다. 지우는 학성의 가르침 덕분에 높은 수학 성적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갑자기 높아진 수학 성적 때문에 지우가 수학시험문제를 훔쳤다는 소문이 학교에 퍼집니다. 지우는 학성을 찾아가 도움을 청하지만 학성은 신분이 드러날 수 있어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하지만 학성은 자신의 신분이 드러날 위험을 감수하고 지우를 구하게 됩니다.

나는 시험에는 관심이 없다, 중요한 건 답을 찾는 과정이다.

이 영화는 두 사람의 우정을 통해서 결과가 아닌 과정의 아름다움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시험문제에 정해진 답을 찾는 것은 오히려 수학의 본질을 보지 못하게 합니다. 학성은 지우에게 수학은 답을 찾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쳐줍니다. 설사 그 정답이 틀리더라도 과정이 맞다면 그것은 훌륭한 문제풀이라고 말합니다. 대학에 가기에 성적이 부족했던 지우에게는 전학을 가는 것이 이미 내려져있는 정답이었습니다. 그리고 학성은 북한으로 다시 돌아가거나 애초에 남한으로 오지 않는 것이 정답이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들은 정해져 있는 답이 아닌 함께 만들어간 우정과 믿음으로 새로운 결말을 만들어냅니다. 그것이 정답이 아니더라도 두 사람이 만들어낸 과정은 이미 훌륭한 문제풀이였습니다.

인상적인 화면 구도, 전지적 칠판 시점

이 영화를 보면 시점과 구도에 신경을 많이 썼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 관객들이 칠판 바로 뒤에서 영화를 직관하고 있는 듯한 구도를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이 특이한 화면 구도는 관객으로 하여금 마치 스크린 뒤에서 주인공들을 관찰하고 있는 느낌을 줍니다. 보이지 않는 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두 배우의 연기를 코앞에서 보는 경험을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연출 덕분에 영화를 보는 것보다 연극을 보는 것에 가까울 정도로 실제감이 좋습니다. 이것은 칠판에 있는 글씨들이 카메라에 가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감독의 해결방안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단점을 오히려 장점으로 활용하면서 영화를 훨씬 다채롭게 표현했습니다. 또한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라는 영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영화가 환상과 미지의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 in Wonderland)로부터 영감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학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존하고 있는 미지의 세계와 공간을 떠올리게 합니다. 이 화면 구도는 미지의 공간을 표현하기에 아주 적합한 선택이었습니다.

객관적인 영화에 대한 평가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는 최민식과 김동휘의 두 배우의 연기 호흡이 매우 잘 어우러졌던 영화입니다. 특히, 최민식의 관록과 아우라에 지지 않을 만큼 김동휘의 연기력은 정말 놀라웠습니다. 단지 고등학생처럼 보이는 것뿐만 아니라 주인공의 안타까운 상황에 맞는 감정표현이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에 완벽하게 몰입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두 배우뿐만 아니라 박해준, 박병은처럼 베테랑 배우들의 연기력이 영화의 수준을 한층 더 높여주었습니다. 다만, 이 영화에서 한 가지 아쉬웠던 부분이 있습니다. 스토리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영화의 후반부의 전개 속도가 빠르다고 느꼈습니다. 초반부의 집중감과 스토리 전개는 훌륭했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전개가 급변하면서 호흡이 가빠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만약 관객들이 긴장감이나 안타까운 상황에 대한 공감을 할 수 있는 여유가 조금 더 있었더라면 결말 부분에서의 감동을 훨씬 더 깊게 줄 수 있었을 것입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